반응형
원가 관련 필수 개념(원가는 생산량Q와 관련!!)
TC=f(Q)
TC=FC+VC
MC(n)=TC(n+1)-TC(n)
AC=TC/Q
총원가=생산량의 함수
총원가=고정원가+변동원가
고정원가: Q와 관계 없이 일정
변동원가: Q와 비례해서 증가
한계원가: 한 개 더 만들 때 추가되는 원가
가운데 총의 숫자는 왼쪽의 한계 숫자와 오른쪽 총의 숫자보다 1 크다.
즉, MC(1)=TC(2)-TC(1)
->한계는 "1은 총2 빼기 1" 이라고 외우면 된다.
응용해보면, MC(2)를 구할 때는 총3 빼기 2라고 하면 된다. MC(2)=TC(3)-TC(2)
평균원가= 총원가/생산량
원가 관련 필수 개념들을 알았다면 원가함수를 해석할 수 있다.
Q가 증가함에 따라 TC는 증가하고, MC는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단위당 MC=단위당 VC (추가되는 원가 자체가 VC이므로)
아래는 선형으로 추정한 직선 형태의 원가함수이다.
원가함수를 직선으로 놓고 보면, 기울기가 일정(동일)하고, 기울기가 일정하다는 것은 어떤 Q에서나 VC가 일정하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예제를 풀어보자.
TC(Q)=160+200Q-25Q^2+2Q^3 일때, 제품 2개 생산할 때
(1)총원가는?
TC(2)=476
(2)개당 평균원가는?
AC(2)=TC(2)/2=238
(3)개당 한계원가는?
MC(2)=TC(3)-TC(2)=113
(4)총고정원가는?
TC(0)=160
(5)총변동원가와 개당 변동원가는?
총VC=TC-FC=316 (or 200Q-25Q^2+2Q^3에서 Q에 2 대입)
개당VC=316/2=158
반응형
'공부하는 로빈 > 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회계] 공헌이익 차이 분석 (0) | 2020.04.24 |
---|---|
[관리회계] 제품패키지법, 가중평균 공헌이익률법 (0) | 2020.04.23 |
[관리회계] BEP손익분기점 관련 예제 (0) | 2020.04.14 |
[관리회계] CVP그래프, 공헌이익 (0) | 2020.04.14 |
[관리회계] 계정과목분석법, 회귀분석법 (0)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