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5 - [공부하는 로빈/관리회계] - [관리회계] 영업레버리지, 재무레버리지, 결합레버리지
공헌이익과 손익분기점 분석에 대해 알고 싶다면 위에 링크를 클릭하세요!
지난 시간까지 공헌이익과 손익분기점 분석 단원에 대해 배웠습니다.
오늘은 제품원가, 기간비용, 관련원가에 대해 알아봅시다.
원가의 개념
원가는 사용 목적에 따라 개념이 다양하게 정의된다.
미래에 대한 의사결정: 차액원가 vs. 매몰원가
추적가능성: 직접/추적가능/분리가는원가 vs. 간접/배부/공통원가
통제가능성: 통제가능원가 vs. 통제불능원가
제조활동과의 관련성: 제품원가 vs. 기간비용
생산활동에 투입된 원가->제조원가->제품원가
제품원가는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 또는 재무상태표의 재고자산으로 보고된다.
제품원가는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로 나뉜다.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비용)->재공품(재고자산)->제품(재고자산)->매출원가(비용)
판매/관리/재무활동에 투입된 원가->비제조원가->기간비용
기간비용은 손익계산서의 판매및관리비용(영업외비용)으로 보고된다.
관련원가는 의사결정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원가이다.
관련원가는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갖는다.
1. 의사결정 시 추가로 발생하는 원가이다.
그런 의사결정을 하지 않았더라면 회피가능한원가 또는 차액원가이다.
2. 실제로 현금 지출이 요구되는 원가이다.
감가상각비처럼 현금 지출을 수반하지 않는 원가는 관련원가가 아니다.
3. 장래에 발생할 원가이다.
과거에 이미 발생한 원가인 매몰원가는 관련원가가 아니다. 매몰원가는 이미 발생한 원가이기 때문에 미래에 어떤 의사결정을 하더라도 바뀌지 않는다. 예를 들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정자산의 취득원가는 매몰원가이다.
4. 의사결정 시 발생하는 기회비용도 관련원가이다.
A의 기회비용은 A를 선택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차선의 대안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익이다.
'공부하는 로빈 > 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회계] 영업레버리지, 재무레버리지, 결합레버리지 (0) | 2020.04.25 |
---|---|
[관리회계] 공헌이익 차이 분석 (0) | 2020.04.24 |
[관리회계] 제품패키지법, 가중평균 공헌이익률법 (0) | 2020.04.23 |
[관리회계] BEP손익분기점 관련 예제 (0) | 2020.04.14 |
[관리회계] CVP그래프, 공헌이익 (0) | 2020.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