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13 - [공부하는 로빈/관리회계] - 원가함수(총원가, 고정원가, 변동원가, 한계원가, 평균원가)
지난 시간에는 선형으로 추정한 직선 형태의 원가함수에 대해 배웠다. (모르겠다면 위에 클릭!)
식으로 표현하면, y=FC+단위당VC*x
이 식을 잘 기억해두고, 계정과목분석법과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원가함수를 추정해보자.
<계정과목분석법: 계정과목을 FC와 VC로 구분한다.>
eg.
FC |
VC |
가게 임차료 400 |
파트타임 종업원 급여 2,340 |
비품 및 시설 감가상각비 80 |
피자 토핑 180 |
책임보험료 100 |
피자 반죽 240 |
광고비 60 |
냅킨, 종이접시, 컵 75 |
청소용구 15 |
소프트드링크 375 |
매니저 급여 1,400 |
|
전기료, 통신비 110 |
|
TOTAL: 2,165 |
TOTAL: 3,210 |
문제1. 원가함수를 구해라. 피자 판매량은 600개이다.
원가함수를 구하라고? 그럼 아까 기억해두자고 했던 식을 생각해보자! y=FC+단위당VC*x
우리는 FC와 VC를 알기 때문에 대입만 해주면 된다. 그런데 여기서는 단위당VC를 구해야 하므로, VC/600=3,210/600=5.35
따라서 y=2165+5.35*x
문제2. 700개의 피자를 판매할 경우에 소요되는 총원가는?
위에서 구한 식에서 x에 700을 대입한다. 따라서 5910
<회귀분석법: 원가자료의 산포도를 그린 후 그 산포도를 가장 잘 대표하는 직선 형태의 원가함수를 구한다.>
아래에서 x는 기계운전시간, y는 전력비이다. 기계운전시간이 전력비를 결정한다.
INTERCEPT 함수 선택 =INTERCEPT(C3:C14,B3:B14)
SLOPE 함수 선택 =SLOPE(C3:C14,B3:B14)
RSQ 함수 선택 =RSQ(C3:C14,B3:B14)
C3:C14은 known_y's 로, 종속변수를 의미하고, B3:B14은 known_x's 로, 독립변수를 의미한다.
(y=f(x)에서 y는 종속변수, x는 독립변수. x가 y를 결정한다.)
INTERCEPT 의 의미: y절편
SLOPE 의 의미: 기울기
R-square(R^2) 의 의미: 회귀분석으로 추정한 원가함수의 대표성. 0이상 1이하의 값을 가지는데, 0에 가까울수록 대표성이 낮고, 1에 가까울수록 대표성이 높다.
원가함수를 구해보자. 아까 기억해두자고 했던 식을 생각해보자. y=FC+단위당VC*x
여기서는 y=INTERCEPT+SLOPE*x
따라서 y=65.438+0.168*x
'공부하는 로빈 > 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회계] 공헌이익 차이 분석 (0) | 2020.04.24 |
---|---|
[관리회계] 제품패키지법, 가중평균 공헌이익률법 (0) | 2020.04.23 |
[관리회계] BEP손익분기점 관련 예제 (0) | 2020.04.14 |
[관리회계] CVP그래프, 공헌이익 (0) | 2020.04.14 |
[관리회계] 원가함수(총원가, 고정원가, 변동원가, 한계원가, 평균원가) (0)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