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업의 시가총액이란?
시가총액은 한 기업의 현재 시장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해당 기업의 발행된 주식 수에 현재 주가를 곱한 값입니다.
시가 총액 = 주식 수 X 현재 주가
만약, A기업을 세우는데 드는 돈이 총 1억이면 이 A기업은 총 1억짜리 기업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1억을 주식 시장에서는 '시가 총액'이라고 부릅니다. 총 1억 원을 10개의 주식으로 나누면, 주식 한 개의 가격은 천만 원이 됩니다.
1억원 (시가 총액) = 10개 (주식 수) X 천만 원 (현재 주가)
만약, B 기업을 세우는 데 드는 돈이 총 1억 원이고, 이 회사는 1개의 주식으로 발행했다고 하면, 주식 한 개의 가격은 1억 원이 됩니다.
1억원 (시가 총액) = 1개 (주식 수) X 1억 원 (현재 주가)
즉, A기업과 B기업은 시가 총액이 총 1억 원으로 같게 됩니다.
그렇다면, 주가가 한 주에 천만 원인 A기업과 한 주에 1억 원인 B기업 중 어떤 회사의 규모가 더 큰 것일까요?
정답은??
"알 수 없다" 입니다. 주가만으로는 회사 전체 규모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즉, 주가가 만 원이라고 해서 규모가 작은 회사라고 판단할 수 없고 주가가 1000만 원이라고 해서 무조건 큰 규모의 회사라고 판단할 수 없습니다!
반응형
'공부하는 로빈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면가와 주가의 차이 (0) | 2025.01.02 |
---|---|
나무증권 화면으로 주식 알아보기 (0) | 2025.01.01 |
주식 초보자들이 알아야 하는 기초 지식 1탄 (2)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