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서 호가창에 들어가 보셨나요?
호가창은 주식시장에서 사는 쪽과 파는 쪽 주문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식을 거래하는 사람들이 시장에서 현재 어느 가격에 어떤 물량이 매수되거나 매도될 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식 초보자들이 알아야 하는 기초 지식 2탄 시작하겠습니다!
<나무 증권>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체결 강도를 기준으로 왼쪽 윗부분이 매도 주문이고, 오른쪽 아랫부분이 매수 주문입니다.
매도 주문 맨 아래 '53,200' 왼쪽에 있는 28,664라는 숫자는 매도 잔량입니다.
같은 원리로, 매수 주문 맨 위 '53,100' 오른쪽에 있는 313,581이라는 숫자는 매수 주문량입니다.
바로 주식을 사고 싶은 사람은 53,200원에 매수 주문을 내면 체결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53,200원의 매도 잔량이 모두 체결되면 그보다 높은 53,300원이 현재가가 됩니다.
기준가
어제 마감될 때의 가격입니다.
시가
오늘 처음 장이 시작할 때의 가격입니다.
고가
오늘 장중 최고 가격입니다.
저가
오늘 장중 최저 가격입니다.
여기서, 상한가는 시가를 기준으로 +30% 가격, 하한가는 -30% 가격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 30%이기 때문입니다.
체결 강도
100%를 기준으로 매수세와 매도세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00%보다 높으면 매수세가 강한 것이고 100%보다 낮으면 매도세가 강하다는 의미입니다, 위의 창에서는 체결 강도가 89.65%로 100%보다 낮으므로 매도세가 강한 것이고 이는 주식이 하락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잔량 (매도 주문량 또는 매수 주문량)
위의 호가창에서 매도 잔량이 779,506주, 매수 잔량이 1,170,450주입니다. 매수 잔량이 매도 잔량보다 약 39만 주 정도 많은데, 이는 매수 잔량이 더 많으니, 주가가 하락 추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정가 주문
투자자가 직접 가격을 정해서 주식을 사고파는 주문 방식입니다.
주식을 매수할 때는 설정한 최대 가격 이하에서만 매수되고, 주식을 매도할 때는 설정한 최소 가격 이상에서만 매도됩니다.
시장가 주문
주식 거래를 현재 시장 가격에 즉시 체결하겠다는 주문 방식입니다.
주식을 매수할 때는 가장 낮은 매도 호가에 즉시 체결되고, 주식을 매도할 때는 가장 높은 매수 호가에 즉시 체결됩니다.
지정가 주문은 투자자가 원하는 가격에 거래가 가능하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시장가 주문은 즉시 체결이 가능하여 거래 속도가 빠르지만, 예상치 못한 가격 변동이 발생할 수 있어 위험도가 높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호가창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주식을 매도하거나 매수할 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공부하는 로빈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면가와 주가의 차이 (0) | 2025.01.02 |
---|---|
기업의 시가 총액과 규모 (0) | 2025.01.02 |
주식 초보자들이 알아야 하는 기초 지식 1탄 (2) | 2025.01.01 |